반응형 의존 관계 역전1 [Android] 의존성 주입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기 (Hilt, DIP, IoC) 의존성 주입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과 잘 이해가 안 가는 부분들을 모두 안드로이드에 대입해서 Kotlin으로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의존성 주입? 그게 뭐야? 다른 블로그에서도 많이 소개되어있고 많은 분들이 아시는 의존성 주입의 기본적인 의미는 바로 외부에서 객체를 주입해 준다는 것입니다. 코드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class MainRepository { val dataSource = MainDataSource() fun getApi() = dataSource.get } 위 코드는 MainDataSource의 객체를 직접적으로 MainRepository 클래스 안에서 생성합니다. 이렇게 하게 될 경우 MainRepository와 MainDataSource 간의 강한 결합도가 생기게 된다고 말합니다. 이렇.. 2022. 8. 24. 이전 1 다음 반응형